알바 월급 계산기 2025년, 세전·세후 차이로 보는 현실 월급명세서
첫 알바 월급날, 시급×근무시간만 믿고 기다렸는데 통장에 찍힌 숫자가 작아 놀라신 적 있으시죠. 알바 월급 계산기로 세전·세후를 나눠 보면 이유가 또렷해집니다. 오늘은 2025년 기준으로 주휴수당과 세금·공제를 쉽고 정확하게 정리해 드릴게요.
✔️ 2025년 알바 월급 핵심 요약
- 2025 최저시급 10,030원(확정), 월 환산 2,096,270원(주40h+주휴 포함 209시간 기준). minimumwage.go.kr
- 세전 vs 세후: 세전=수당 포함 총급여, 세후=4대 보험·세금 공제 후 실제 입금액
- 주휴수당 요건: 주 15시간 이상 + 개근(다음 주 계속 근로 전제)
- 주휴수당 공식:
(주 소정근로시간/40) × 8 × 시급
(최대 8시간) - 가산수당: 연장·야간·휴일 근로는 별도 가산 가능(사업장 규모·근로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내 월급에서 사라진 금액, 세전과 세후의 차이
세전 월급은 기본급 + 주휴수당 + (있다면) 연장·야간·휴일수당 등 모든 수당을 합친 금액입니다.
세후 월급은 세전에서 4대 보험과 소득세·지방소득세 등을 뺀 실제 통장 입금액이에요. 생활비·저축 계획은 반드시 세후 기준으로 세우는 것이 현실적입니다.
주휴수당, 이렇게 계산하세요(예시 포함)

- 요건: 주 15시간 이상 근무 + 개근 + 다음 주 근로 예정
- 공식:
(주 소정근로시간/40) × 8 × 시급
(최대 8시간) - 예시(시급 10,030원): 주 15시간 근무 시 주휴 3시간 발생 → 총 18시간 급여
- 주급 180,540원(10,030×18) / 월 약 784,446원(주×4.345주, 관행치)
세전·세후를 빠르게 계산하는 방법(알바 월급 계산기 사용 팁)

- 시급을 입력합니다.
- 요일별 근무시간을 넣으면 주간 합계가 자동 계산됩니다.
- (선택) 야간·연장·휴일 시간이 있으면 체크합니다.
- 결과에서 주/월 세전·세후 금액을 확인하고, 월급명세서와 항목별로 비교해 보세요.
초보자라면 “야간·휴일 입력”은 비워두고, 시급과 주간 시간·개근 여부만으로도 충분히 추정할 수 있어요.
알바 월급 계산기 가장 쉬운 버전 · 2025
시급과 요일별 근무시간만 넣으면 주/월 세전·세후가 자동 계산됩니다. 주휴수당은 조건 충족 시 자동 반영돼요.
① 기본 입력
필수② 요일별 근무시간
필수➕ 선택 입력(있으면 넣으세요): 야간·휴일근로
📊 상세 내역 보기(미니 명세서)
항목(주간) | 시간 | 금액(원) |
---|
항목(월) | 시간 | 금액(원) |
---|
계산기 3곳 간단 비교(처음 쓰기 좋은 순서)
구분 | 네이버 임금 계산기 | 알바몬 급여 계산기 | 사람인 급여 계산기 |
---|---|---|---|
특징 | 대중적·간단 UI | 주휴·퇴직 등 옵션 풍부 | 고용형태별 세부 옵션 |
강점 | 접근성 최고 | 알바 상황 특화 | 정규·계약직까지 커버 |
유의 | 세부 공제 한정 | UI 다소 복잡 | 알바생에겐 과기능 가능 |
팁: 개념 파악은 네이버, 세부 반영은 알바몬/사람인으로 교차 확인하면 정확도가 올라갑니다.
주의사항·실수 포인트
- 주휴 누락: 주 15시간 이상+개근이면 반드시 발생합니다.
- 계약 형태 확인: 3.3% 원천징수는 프리랜서 등 사업소득일 때 적용됩니다. 근로계약이면 간이세액표·4대 보험 체계를 따릅니다.
- 가산수당 오해: 연장·야간·휴일 가산은 사업장 규모·근무형태에 따라 적용이 달라질 수 있으니 계약서와 취업규칙을 꼭 확인하세요.
지식스니펫 최적화 FAQ
알바 월급 계산기 2025 핵심은?
알바 월급 계산기 2025 핵심은 최저시급 10,030원 반영과 주휴 자동 계산이에요. 결과는 주·월 세전·세후로 즉시 확인하세요.
알바 월급 계산기 주휴수당은 어떻게 계산하나요?
알바 월급 계산기 주휴수당은 (주시간/40)×8×시급
입니다. 주 15시간 이상 근무하고 개근해야 발생해요.
알바 월급 계산기 세후가 줄어드는 이유는?
알바 월급 계산기 세후는 4대 보험과 소득세·지방세 공제 때문이에요. 실생활 예산은 세후 기준이 현실적입니다.
알바 월급 계산기 3.3%는 언제 체크하나요?
알바 월급 계산기 3.3%는 사업소득(프리랜서) 계약일 때만 사용하세요. 근로계약자는 간이세액표로 원천징수돼요.
마무리
알바 월급 계산기로 세전·세후를 나눠 보면 통장에 찍힐 진짜 월급이 보입니다. 월급명세서에서 헷갈리는 항목이 있나요? 댓글로 시급·주간시간·개근 여부를 남겨주시면 주휴·가산 반영까지 깔끔히 정리해 드릴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