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급 시급 계산기, 2025년 기준으로 ‘진짜 내 시간당 가치’ 확인하기
매달 월급명세서를 받아들 때마다 드는 생각, “내 시간당 가치는 과연 얼마일까?”.
연봉은 만족스러운 숫자일 수 있지만, 세금·4대 보험 공제, 잦은 야근과 주말 근무까지 고려하면 실제로 내 시간이 얼마의 가치로 환산되는지 궁금해지는 건 당연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5년 최신 기준에 맞춘 세후 시급 계산법과, 계산 시 꼭 유의해야 할 핵심 포인트를 정리했습니다.
✔️ 핵심 요약

- 시급 계산 공식: 세후 월급 ÷ 실제 월 근로시간
- 근로시간 기준: 단순히 209시간이 아닌, 실제 야근·주말 포함한 총 근로시간
- 세후 기준: 세금·4대 보험 공제 후 금액으로 계산해야 현실적인 시급 확인 가능
- 2025 최저임금: 시급 10,030원 (월 환산 2,096,230원, 주 40시간 기준)
- 209시간의 의미: 주 40시간 + 주휴 8시간이 포함된 월 평균 법정 근로시간
1. 왜 연봉 대신 시급으로 환산해야 할까?
연봉은 세전 금액일 뿐, 실제 내가 쓰는 돈과는 차이가 큽니다.
또한 근로계약서상의 ‘주 40시간’만 반영하면, 야근·주말 근무 같은 현실적인 노동 환경을 반영하지 못하죠. 세후 시급 계산은 나의 노동 가치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재무 계획·커리어 전략을 세우는 출발점이 됩니다.
2. 단순 계산의 함정
예: 월급 300만 원 ÷ 209시간 = 시급 14,354원
겉보기에 높아 보이지만, 실제로는 세금·4대 보험 공제 후 금액과 **실제 근로시간(야근 포함)**을 반영해야 정확한 시급이 나옵니다.
월급 시급 계산기 (2025 · 사용자 친화형)
입력 즉시 자동 계산 · 2025 최저임금(10,030원) 대비
간단 설명
간단 설명
간단 설명
3. 정확한 시급 계산 3단계
① 세후 월급 확인
- 급여명세서 ‘실수령액’을 기준으로
- 식대·차량유지비 등 비과세 항목 제외하면 노동가치에 더 근접
② 실제 총 근로시간 산정
- 기본 근무 + 야근 + 주말 근무 – 휴게시간
- 출퇴근 기록·업무일지를 활용해 ‘실제’ 근로시간을 집계
③ 공식 적용
세후 시급 = (세후 월급) ÷ (실제 근로시간)
4. 흔히 저지르는 실수 3가지
- 209시간만 기준으로 삼음
→ 209시간은 법정 기준일 뿐, 실제 근무 시간이 더 많으면 시급은 떨어집니다 . - 비과세 포함 계산
→ 비과세 수당은 복리후생 성격. 노동가치 측정엔 제외하는 게 더 정확. - 세전만 보고 판단
→ 세후 시급을 알아야 소비·저축·투자 계획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됩니다.
5. 자주 묻는 질문 (FAQ)
Q. 2025년 최저시급은 얼마인가요?
→ 시급 10,030원. 월 환산 2,096,230원(주 40시간 기준)
Q. 왜 209시간으로 계산하나요?
→ 주 40시간 + 주휴수당 8시간이 포함된 월 평균 근로시간이 209시간이기 때문입니다 .
Q. 세후 시급 계산이 중요한 이유는?
→ 실제로 자유롭게 쓸 수 있는 돈(가처분 소득)을 기준으로 해야 내 삶과 가까운 ‘진짜 시급’을 알 수 있기 때문입니다.
마무리
당신의 진짜 시급은 단순히 연봉 ÷ 시간으로 나오는 숫자가 아닙니다.
세금, 공제, 실제 근무시간을 반영해야 현실이 드러납니다. 혹시 계산해 보니 예상보다 훨씬 낮게 나왔다면, 이제는 연봉 협상, 근무환경 개선, 재테크 전략에 적극적으로 활용할 때입니다.
👉 여러분은 직접 계산해 본 ‘진짜 시급’이 얼마였나요? 댓글로 경험을 공유해 주세요.
✅ 참고 출처
고용노동부, 월 209시간 기준 설명(주휴 포함)
고용노동부, 2025년 최저임금 고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