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장근로수당 계산기, 2025년 최신 법정 기준 반영한 계산 방법

연장근로수당 계산기

📌 연장근로수당 계산기, 2025년 최신 법정 기준 반영한 계산 방법

매달 급여명세서를 받아들고 “이번 달 초과근무 수당은 제대로 계산된 걸까?” 고민하신 적 있으신가요?
특히 프로젝트 마감 시즌에는 연장·야간·휴일근로가 불가피한데, 이때 법정 기준을 모르고 넘어가면 제대로 된 보상을 받지 못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2025년 최신 법정 기준에 맞춰 연장근로수당을 어떻게 계산하는지, 계산기 사용법까지 총정리해 드립니다.


✅ 2025 연장근로수당 핵심 요약

연장근로수당 계산기 요약
연장근로수당 계산기 요약
  • 통상임금 산정: 기본급 + 정기·고정 수당 포함
  • 연장근로(OT): 1일 8시간, 주 40시간 초과 시 → 통상임금의 50% 가산【근로기준법 제56조】
  • 야간근로: 22시~익일 06시 사이 근로 → 통상임금의 50% 가산【근로기준법 제56조】
  • 휴일근로:
    • 8시간 이내: 50% 가산
    • 8시간 초과: 100% 가산【근로기준법 제56조, 고용노동부 행정해석】
  • 5인 이상 사업장 적용: 연장·야간·휴일 가산수당 지급 의무 있음【근로기준법 제11조】
  • 5인 미만 사업장: 가산수당 의무는 없지만, 기본임금(100%)은 반드시 지급해야 함【고용노동부, 「5인 미만 사업장 노동법 적용 안내」】
  • 주 52시간제: 주 40시간 + 연장근로 12시간 = 최대 52시간【근로기준법 제50조, 제53조】

🧮 연장근로수당 계산 공식

연장근로수당 계산기 공식
연장근로수당 계산기 공식
  1. 통상시급 계산 월 통상임금 ÷ 월 소정근로시간(209시간) 👉 209시간 = (주40시간 + 주휴8시간) × 365 ÷ 7 ÷ 12【고용노동부, 통상임금 산정 지침】 예시: 월 통상임금 2,500,000원
    → 2,500,000 ÷ 209 = 11,962원 (통상시급)
  2. 연장·야간·휴일근로 시간 집계
    출퇴근 기록, 업무일지로 정확히 확인
  3. 가산율 적용
    • 연장근로: 통상시급 × 1.5
    • 야간근로: 통상시급 × 1.5
    • 휴일근로: (8시간 이내 × 1.5, 8시간 초과 × 2.0)
    👉 중복 시 유의: 예를 들어 평일 밤 11시~12시 근로는
    • 연장근로(50%) + 야간근로(50%) = 통상임금의 100% 가산

아래에서 연장근로수당을 조회해보세요!

연장근로수당 계산기 (2025 최신)

💰 연장근로수당 계산기 (2025 최신 기준)

※ 기준: 근로기준법 제56조 (연장·야간·휴일근로 가산수당, 2025년 기준)

기본급 + 고정수당 등을 포함한 금액 (매월 정기적·일률적으로 지급되는 금품) 👉 1일 8시간, 1주 40시간을 초과한 근로시간 👉 오후 10시 ~ 다음 날 오전 6시 사이의 근로시간 👉 주휴일(일요일 등)이나 근로자의 날 등 휴일에 일한 시간

📊 예시 계산

A씨 (월 통상임금 250만원, 통상시급 11,962원)

  • 연장근로: 10시간
  • 야간근로: 4시간
  • 휴일근로: 8시간

👉 수당 계산

  • 연장: 10h × 11,962 × 1.5 = 179,430원
  • 야간: 4h × 11,962 × 1.5 = 71,772원
  • 휴일: 8h × 11,962 × 1.5 = 143,544원
  • 총합 = 394,746원

⚠️ 반드시 알아야 할 주의사항

  1. 포괄임금제
    • 계약했더라도 실제 근로시간이 계약서상 시간 초과 → 추가 수당 청구 가능【대법원 2012다89399 판결】
  2. 5인 미만 사업장
    • 가산수당 면제되지만 기본임금은 반드시 지급【근로기준법 제11조】
  3. 주 52시간제
    • 주 12시간 초과 연장근로 불법, 위반 시 사업주 형사처벌 가능【근로기준법 제110조】

🙋 자주 묻는 질문 (FAQ)

Q1. 포괄임금제면 초과근무수당을 못 받나요?
→ 아닙니다. 계약서에 정한 연장근로시간을 넘으면 초과분은 법적으로 청구할 수 있습니다【대법원 판례 2012다89399】

Q2. 휴일근로 9시간 하면 가산은 어떻게 되나요?
→ 8시간까지는 50% 가산, 1시간 초과분은 100% 가산【근로기준법 제56조】

Q3. 5인 미만 사업장은 아예 수당이 없나요?
→ 아닙니다. 연장근로 기본임금(100%)은 지급해야 하고, 단지 가산수당(50% 이상)이 면제됩니다【고용노동부 공식 해석】


✅ 출처

대법원 2012다89399 판결 (포괄임금제 관련)

「근로기준법」 제11조, 제50조, 제53조, 제56조, 제110조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고용노동부, 통상임금 산정 지침 (고용노동부 발간 자료)

고용노동부, 5인 미만 사업장 노동법 적용 안내 (2024)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