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언어는 1970년대에 만들어진 이후 지금까지도 전 세계에서 가장 널리 쓰이고 있는 프로그래밍 언어 중 하나입니다.
운영체제(OS), 임베디드 시스템, 게임 엔진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다른 언어(Java, C++, Python 등)의 기반이 되기도 했습니다.
따라서 프로그래밍을 처음 배우는 분들이 C언어를 학습하면 코딩의 기본 원리를 확실히 이해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C언어 기초 문법 중에서 반드시 알아야 할 변수, 자료형, 연산자에 대해 하나씩 살펴보고, 예제와 함께 이해를 도와드리겠습니다.
✅ 변수(Variable)란 무엇일까?
변수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공간입니다.
쉽게 말해 “라벨이 붙은 상자” 같은 개념으로,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동안 원하는 값을 넣었다가 다시 꺼내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변수 선언과 초기화
int age; // 변수 선언
age = 25; // 변수에 값 대입
- 선언: 어떤 자료형으로 변수를 만들 것인지 정의
- 초기화: 변수를 만들면서 바로 값을 할당
int year = 2025; // 선언과 동시에 초기화
🔹 변수 작명 규칙
- 첫 글자는 문자나 밑줄(_)만 가능 (숫자로 시작 불가)
- 예약어(int, return 등)는 변수명으로 사용 불가
- 의미 있는 이름 사용 권장 (ex: score, price)
👉 잘못된 예시
int 1stNumber; // 숫자로 시작 불가
int return; // 예약어 사용 불가
✅ 자료형(Data Type)의 개념
C언어에서는 변수에 저장할 수 있는 값의 종류와 크기를 자료형으로 구분합니다.
자료형을 지정해야 컴퓨터가 메모리를 얼마나 확보할지, 어떤 방식으로 연산할지를 알 수 있습니다.
🔹 주요 자료형 정리
자료형 | 크기 | 예시 값 | 설명 |
---|---|---|---|
int | 4 byte | 10, -5 | 정수형 |
float | 4 byte | 3.14 | 소수점 포함 |
double | 8 byte | 3.141592 | 더 정밀한 실수 |
char | 1 byte | ‘A’ | 문자형 |
🔹 실습 예제
#include <stdio.h>
int main() {
int num = 100;
float pi = 3.14;
char grade = 'A';
printf("정수: %d\n", num);
printf("실수: %.2f\n", pi);
printf("문자: %c\n", grade);
return 0;
}
👉 실행 결과
정수: 100
실수: 3.14
문자: A
✅ 연산자(Operator)란 무엇일까?
연산자는 변수나 값을 가지고 계산하거나 비교할 때 사용하는 기호입니다.
C언어의 모든 계산은 연산자를 통해 이루어진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 산술 연산자
연산자 | 의미 | 예시 | 결과 |
---|---|---|---|
+ | 덧셈 | 5 + 3 | 8 |
– | 뺄셈 | 5 – 3 | 2 |
* | 곱셈 | 5 * 3 | 15 |
/ | 나눗셈 | 10 / 2 | 5 |
% | 나머지 | 10 % 3 | 1 |
⚠️ 주의:
int
끼리 나눗셈을 하면 소수점은 버려집니다.
printf("%d", 7 / 2); // 결과: 3
실수 결과를 원하면 float
나 double
을 사용해야 합니다.
🔹 비교 연산자
값을 비교하고, 참(1) 또는 거짓(0)을 반환합니다.
연산자 | 의미 | 예시 | 결과 |
---|---|---|---|
== | 같다 | (5 == 3) | 0 |
!= | 같지 않다 | (5 != 3) | 1 |
> | 크다 | (5 > 3) | 1 |
< | 작다 | (5 < 3) | 0 |
🔹 논리 연산자
조건문(if 등)과 자주 함께 사용됩니다.
연산자 | 의미 | 예시 | 결과 |
---|---|---|---|
&& | AND | (5 > 3 && 2 < 4) | 1 |
|| | OR | (5 > 3 || 2 > 4) | 1 |
! | NOT | !(5 > 3) | 0 |
✅ 간단 실습: 두 수 입력받아 합과 평균 출력하기
#include <stdio.h>
int main() {
int a, b;
float avg;
printf("두 정수를 입력하세요: ");
scanf("%d %d", &a, &b);
avg = (a + b) / 2.0; // 평균 계산 시 float 필요
printf("합: %d\n", a + b);
printf("평균: %.2f\n", avg);
return 0;
}
👉 실행 예시
두 정수를 입력하세요: 10 20
합: 30
평균: 15.00
✅ 초보자가 자주 하는 실수
;
(세미콜론) 빠뜨리기 → 컴파일 에러 발생- 문자형(char)에 큰따옴표(“”) 사용 →
"A"
는 문자열,'A'
는 문자 - 나눗셈에서 정수형끼리 계산 → 소수점 버려짐
✅ 정리하며…
오늘은 C언어의 기초 문법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변수, 자료형, 연산자를 정리했습니다.
- 변수: 데이터를 저장하는 이름표
- 자료형: 어떤 종류의 데이터를 저장할지 지정
- 연산자: 데이터를 계산·비교하는 도구
이 세 가지는 앞으로 배울 조건문, 반복문, 함수 등 모든 C언어 문법의 기반이 됩니다.
기초를 확실히 다져야 이후 학습도 훨씬 수월해질 것입니다.
👉 다음 글에서는 조건문(if, switch) 활용법을 실습 예제와 함께 정리해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