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알바 월급 계산법: 최저시급·주휴수당·연장수당 완벽 정리
카페, 편의점, 학원… 수많은 아르바이트 현장에서 일하는 대학생과 청년들.
“내가 받는 월급이 맞는 걸까?” 고민해본 적 있으신가요?
실제로 많은 알바생이 주휴수당, 연장수당, 야간수당 등 법적으로 보장된 권리를 놓치고 있습니다.
오늘은 2025년 최저시급 기준 알바 월급 계산법을 완벽히 정리해 드립니다.
✅ 2025년 최저시급과 월급 환산
2025년 법정 최저시급은 10,030원입니다.
구분 | 계산 방식 | 금액(세전) |
---|---|---|
시급 | 기본 | 10,030원 |
일급 | 8시간 근무 | 80,240원 |
주급 | 40시간 + 주휴 8시간 | 400,320원 |
월급 | 209시간 기준 | 2,096,270원 |
👉 위 금액은 세전 기준이며, 실제 수령액은 세금 및 4대 보험 공제 후 달라집니다.
💡 주휴수당: 숨은 월급 찾기

📌 주휴수당 지급 조건 (체크리스트)
- 1주 소정근로시간이 15시간 이상
- 소정근로일을 개근
- 다음 주 근무 예정
📌 계산법
- 주 40시간 이상 근로자:
1일 소정근로시간 × 시급
- 주 40시간 미만 근로자:
(1주 근로시간 ÷ 40) × 8 × 시급
👉 예시: 시급 10,030원, 주 30시간 근무
= (30 ÷ 40) × 8 × 10,030 = 60,180원(주휴수당)
알바 월급 계산기 쉬운 버전
복잡한 용어 없이, 시급과 근무시간만 넣으면 주급·월급(세전/세후)을 한 번에 계산합니다. 주휴수당은 조건을 만족하면 자동 반영됩니다.
① 기본 입력
필수② 요일별 근무시간
필수➕ 선택 입력(있으면 넣으세요): 야간·휴일·연장근로
※ 선택 입력은 모르면 0으로 두세요. 기본 급여와 주휴수당만으로도 계산됩니다.
📊 상세 내역 보기
항목(주간) | 시간 | 금액(원) |
---|
항목(월) | 시간 | 금액(원) |
---|
⏰ 연장·야간·휴일근로 수당

구분 | 적용 조건 | 계산 방식 | 가산율 |
---|---|---|---|
연장근로 | 주 40시간 초과 | 초과시간 × 시급 × 1.5 | 50% |
야간근로 | 22시~익일 6시 | 야간시간 × 시급 × 1.5 | 50% |
휴일근로(8시간 이내) | 휴일 근무 | 근로시간 × 시급 × 1.5 | 50% |
휴일근로(8시간 초과) | 휴일 초과 근무 | 초과시간 × 시급 × 2 | 100% |
📌 Tip: 휴일 + 야간근무가 겹치면 가산이 중복 적용 → 통상임금의 2배 지급
⚠️ 5인 미만 사업장의 예외
- 연장·야간·휴일근로수당 → 지급 의무 없음
- 단, 주휴수당·최저임금·휴게시간은 동일 적용
👉 따라서 소규모 사업장이라도 주휴수당은 반드시 챙겨야 합니다.
💰 세금 및 공제
근무시간 | 적용 | 공제 |
---|---|---|
월 60시간 이상 | 4대 보험 가입 | 보험료 공제 |
월 60시간 미만 | 단기 근로 | 3.3% 원천징수 (일반적) |
※ 사업장 형태·계약 조건에 따라 다를 수 있으므로 급여명세서 확인 필수
📑 근로계약서 작성 체크리스트
- 시급·지급일 명시
- 소정근로시간·휴게시간
- 휴일 및 연차휴가
- 근무 장소와 업무 내용
👉 계약서가 없으면 임금 분쟁 시 불리합니다. 반드시 서면 계약을 요구하세요.
🙋 알바 FAQ
Q. 주휴수당을 못 받는 경우는?
A. 주 15시간 미만 근무, 결근 발생, 초단시간 근로자는 제외됩니다.
Q. 2025년 최저시급으로 주 15시간 근무하면?
A. 주휴수당 포함 약 84만 원(세전)
Q. 세금은 얼마나 떼이나요?
A. 보통 4대 보험 또는 3.3% 원천징수, 근무 형태에 따라 다릅니다.
🚀 마무리
정확한 알바 급여 계산은 돈을 더 받는 문제를 넘어,
근로자가 법적으로 보장받은 권리를 지키는 첫걸음입니다.
💬 여러분은 아르바이트하면서 놓친 수당이 있었나요?
댓글로 경험을 공유해 주세요 👇